◀️ 산업안전 보건교육

다음은 업무상질병 요통의 업무상 인정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통상의 동작과 다른 동작에 의해 요부에 급격한 힘의 작용이 업무와 상관없이 돌발적으로 가해져 발생한 요통
  2. 요부에 작용한 힘이 요통을 발생시켰거나 요통의 기왕증 또는 기초질환을 약화시켰음이 의학적으로 인정되는 요통
  3. 재해성 요통의 원인으로는 일반적인 부상(넘어짐, 떨어짐 등에 의한 부상)뿐만 아니라, 요부의 힘줄, 근막, 인대 등 연부조직의 손상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정도의 급격한 힘의 작용이 업무수행 중에 생긴 경우
  4. 기존 질환이 업무로 인하여 급격히 약화된 경우, 요통의 기왕중 또는 기초질환(추간판 탈출증, 척추 분리증, 기타 변형성 척추증 등)이 있는 근로자가 그 증상을 느끼지 못하거나(통증이 거의 없거나) 호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업무수행 중 요부에 가해진 외력 등의 원인에 의해 재발 또는 약화되어 자각증상을 느끼게 된 경우 요양(치료)의 필요설이 있는 경우
다른문제 검색하기 ->